유리병 조명(5)
-
나만의 조명 만들기 (열 일곱번째) - 유리병 조명 V
그 동안 유리병을 이용하여 조명을 시리즈로 만들어 왔었다. 얼마전에 시작한 것 같은데, 어느덧 5개의 작품을 만들었다. 이번 작품을 끝으로, 당분간은 유리병보다는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조명을 만들어 볼 예정이다. 아마도 목재를 이용해야 할 것 같다. 이유는 아이들이 어릴 때 사용하던 가베 완구가 창고에 있는데, 주변에 마땅히 물려줄 데도 없고 그렇다고 버리기도 아깝고 하여 조명 만들때 이용할 생각이다. 물론 버려지는 가베 나무 조각만으로 만들 수 있는 작품도 구상중이다. 아뭏든 오늘은 빈 유리병을 이용하는데, 그동안 모아 온 잡동사니들을 유리병에 붙여주는 지루한 작업이었다. 개업하고 오랜 시간이 지나다 보니 부서진 수술기구들도 있고, 여러가지 볼트나 너트, 열쇠나 금속 조각 등과 전자제품에서 나온 폐기해..
2021.10.18 -
나만의 조명 만들기 (열 여섯번째) - 유리병 조명 IV
오늘은 유리병을 이용한 조명 만들기의 네번째 작품이다. 빈 술병을 이용하여 조명을 만들었고, 가장 큰 핵심 요소는 술병에 구멍을 잘 뚫어서 전선을 통과 시키는 작업일 것이다. 먼저 드릴 비트는 약 45도 기울여서 유리병에 홈을 만들고, 이후에 서서히 수직으로 세워서 구멍을 내준다. 이때 물을 뿌려가면서 저속으로 작업하는 것이 좋다. 나는 원래 술을 좋아하지 않는 편이고, 알콜 도수가 높은 술은 더욱이 기피하는 편이다. 어쩔수 없이 양주를 마셔야 한다면 위스키나 꼬냑 보다는, 크림 리큐르의 대표주자인 아일랜드의 베일리스나 이탈리아산으로 견과류의 향이 매력적인 디사론노가 그나마 알콜 도수가 낮고 순해서 좋다. 그래서 베일리스와 디사론노 술병을 이용해서 작품을 만들어볼 예정이다. 이번 작품은 베일리스 술병을 ..
2021.09.30 -
나만의 조명 만들기 (열 네번째) - 횃불 조명(유리병 조명 III)
유리병을 재활용해서 횃불을 형상화한 조명을 만들어 보았다. 요즘은 흑관, 백관 또는 동관 파이프만으로 작품을 만들기 보다는, 유리병과 파이프를 조합한 작품들을 주로 만들고 있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파이프만을 사용하는 것 보다 조금 더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고, 금속의 차가운 느낌을 유리가 부드럽고 따뜻하게 중화해주는 것 같다. 이와 같이 금속 파이프와 어울리는 재료로는 목재와 유리 등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작품은 올리브 병조림을 먹고 난 후의 빈병을 재활용하기로 하고, 흑관, 백관 및 신주 동관 파이프를 골고루 섞어서 만들었다. 그리고 병안에 쏙 들어가는 에디슨 전구를 사용하는 것이 키포인트 였다. 완성된 조명 작품이 가구나 바닥을 긁어 손상을 주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 고무마개를 사용하였다. 이..
2021.08.09 -
나만의 조명 만들기(열 세번째) - 유리병 조명 II
유리병과 백관 파이프 부속의 만남 요즘 날씨가 매우 더워서 마치 열대지방에 온 느낌이었다. 그래서 조명이라도 시원한 느낌이 나도록 제작을 해 보고 싶었다.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캠핑이나 차박이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는데, 캠핑장의 화려한 밤을 장식해 주는 LED와이어 전구를 선택하였다. 전구색은 시원한 느낌의 화이트 컬러를 고르고, 흑관보다는 여름에 더 잘 어울리는 백관 파이프 부속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유리병 조명II" 에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투명한 유리병 (원래는 체리주스병이었다.) 와이어 LED전구 - 화이트 컬러의 100구 LED전구로, USB로 연결되었으며 리모컨 포함됨. 백관 파이프 부속 : 20A 철나사 프렌지 1개 20A X 15A 이경니플 1개, 레듀샤 1개 15A 티 1개,..
2021.07.27 -
나만의 조명 만들기(열 두번째) - 유리병 조명
간단하게 유리병 조명을 만들어 보자!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동사니를 이용하여, 간단한 유리병 조명을 만들어 보았다. 어차피 버려야 할 재료들을 모아서 간단히 조립하면 비교적 쓸만한 조명을 뚝딱 만들 수 있다. 유리병 조명에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디퓨저의 임무를 다하고 버려지는 유리병 usb 코드로 연결된 와이어 전구, 병원에 굴러다니는 다 쓴 보톡스 병의 고무마개 너무 간단하여 조립이라고 할 것 도 없이, 유리병안에 와이어 전구를 넣고 입구는 보톡스 병의 고무마개로 밀봉하여 고정해 주었다. 컴퓨터나 노트북의 usb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노트북 사용시 옆에서 은은한 빛을 내고 있을 때가 가장 잘 어울리는 것 같다.
2021.07.12